File Download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Links for fulltext
     (May Require Subscription)
Supplementary

Article: An analysis of the change in media's reports and attitudes about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Big Dat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ling

TitleAn analysis of the change in media's reports and attitudes about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Big Dat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ling
빅데이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마스크 관련 언론 보도 및 태도 변화 분석
Authors
KeywordsCOVID-19
Mask
News big data
Topic modeling analysis
Issue Date2021
Publisher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itati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21, v. 25 n. 5, p. 731-740 How to Cite?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21, v. 25 n. 5, p. 731-740 How to Cite?
AbstractThis study applie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o collect and analyze news media big data related to face masks in the three waves of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The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media reports focused on mas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olicies in the first wave and the mandatory mask wearing in the second wave. In contrast, more reports on trivial, gossipy events consist of the media coverage in the second and third waves. The findings imply that Korea's governmental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shortage of face masks and to regulate mask wearing were successful relatively in a short time. In contrast, the study also reports that there may be relative less number of science-based news reports like the ones on the effectiveness of face masks or different levels of filter types. This study exemplifies how a big data analysis can be applied to evaluate and enhance public health communication.
본 연구는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 내 세 번의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를 기준으로 마스크와 관련된 뉴스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마스크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언론보도가 마스크 정책과 관련된 주제에서 사건사고 위주로 바뀌어가는 것을 실증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제1차 시기의 경우 마스크 생산과 공급이, 제2차 시기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관련 사건사고가, 마지막인 제 3차 시기에는 주로 사건사고 위주로 토픽이 다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마스크 공급, 확보, 착용 외 다른 보건정보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2,3차 시기 보도가 사건사고에 치우친 부분은 향후 언론보도의 접근성 및 태도에 대한 개선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코로나19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이고 사회 전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언론보도가 변화해야 할 것이다.
DescriptionOpen Access Journal
Persistent Identifierhttp://hdl.handle.net/10722/305484
ISSN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Shu, YR-
dc.contributor.authorKoh, K-
dc.contributor.authorLee, JW-
dc.date.accessioned2021-10-20T10:10:03Z-
dc.date.available2021-10-20T10:10:0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citation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21, v. 25 n. 5, p. 731-740-
dc.identifier.citatio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21, v. 25 n. 5, p. 731-740-
dc.identifier.issn2234-4772-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722/305484-
dc.descriptionOpen Access Journal-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pplie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o collect and analyze news media big data related to face masks in the three waves of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The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media reports focused on mas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olicies in the first wave and the mandatory mask wearing in the second wave. In contrast, more reports on trivial, gossipy events consist of the media coverage in the second and third waves. The findings imply that Korea's governmental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shortage of face masks and to regulate mask wearing were successful relatively in a short time. In contrast, the study also reports that there may be relative less number of science-based news reports like the ones on the effectiveness of face masks or different levels of filter types. This study exemplifies how a big data analysis can be applied to evaluate and enhance public health communication.-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 내 세 번의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를 기준으로 마스크와 관련된 뉴스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마스크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언론보도가 마스크 정책과 관련된 주제에서 사건사고 위주로 바뀌어가는 것을 실증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제1차 시기의 경우 마스크 생산과 공급이, 제2차 시기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관련 사건사고가, 마지막인 제 3차 시기에는 주로 사건사고 위주로 토픽이 다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마스크 공급, 확보, 착용 외 다른 보건정보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2,3차 시기 보도가 사건사고에 치우친 부분은 향후 언론보도의 접근성 및 태도에 대한 개선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코로나19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이고 사회 전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언론보도가 변화해야 할 것이다.-
dc.languageeng-
dc.publisher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dc.relation.ispartof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dc.subjectCOVID-19-
dc.subjectMask-
dc.subjectNews big data-
dc.subjectTopic modeling analysis-
dc.titleAn analysis of the change in media's reports and attitudes about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Big Dat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ling-
dc.title빅데이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마스크 관련 언론 보도 및 태도 변화 분석-
dc.typeArticle-
dc.identifier.emailKoh, K: peterkoh@hku.hk-
dc.identifier.authorityKoh, K=rp02476-
dc.description.naturelink_to_OA_fulltext-
dc.identifier.doi10.6109/jkiice.2021.25.5.731-
dc.identifier.hkuros328106-
dc.identifier.volume25-
dc.identifier.issue5-
dc.identifier.spage731-
dc.identifier.epage740-
dc.publisher.placeSouth Korea-

Export via OAI-PMH Interface in XML Formats


OR


Export to Other Non-XML Formats